바지락 순두부찌개, 집 나간 입맛도 돌아오게 하는 마법!
쌀쌀한 날씨에 뜨끈하고 얼큰한 국물,
생각만 해도 군침이 싹 돌지 않나요?
오늘은 한국인의 소울푸드,
바지락 순두부찌개 만드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바지락의 시원함과 순두부의 부드러움이
환상적인 조화를 이루는 이 찌개,
과연 어떻게 끓여야 제대로 된 맛을 낼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두 가지 비법 레시피를 파헤쳐 보겠습니다!
김진옥 요리사님의 초간단 바지락 순두부찌개 레시피
김진옥 요리사님의 레시피는 복잡한 과정 없이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특히 고추기름 없이도 깊은 맛을 낼 수 있는
비법이 숨어있답니다.
준비물: 순두부 (400g), 바지락 (13개),
멸치다시마육수 (300ml), 계란 (1개), 다진 파 (2T),
청양고추 (2개), 고춧가루 (1T반), 식용유 (2T),
국간장 (1T), 멸치액젓 (1T), 후춧가루,
다진 마늘 (1/2T)
만드는 법: 먼저 뚝배기에 고춧가루와 식용유를 넣고
약불에서 1분간 볶아 고춧가루 향을 내주세요.
여기에 멸치다시마육수, 국간장, 멸치액젓,
다진 마늘, 후춧가루를 넣고 바지락을 추가해
센불로 끓입니다. 끓어오르면 순두부를 큼직하게
썰어 넣고, 다시 끓어오르면 청양고추, 다진 파,
계란을 넣어 계란이 익을 정도로만 끓이면 완성!
마지막으로 간을 보고 싱거우면 소금을,
짜면 물을 더해주세요.
<u> 멸치다시마육수를 미리 준비하면
더욱 깊은 맛을 낼 수 있어요. 매운 것을 싫어하는
분들은 청양고추를 생략해도 좋아요.
백종원 레시피, 순두부찌개 백반집 사장님 되기?!
백종원 님의 레시피는 돼지고기와 바지락을 함께 넣어
육수를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깊고 진한 맛은 물론,
간단한 양념으로도 최고의 맛을 낼 수 있다는 사실!
준비물: 순두부 (1봉지), 간 돼지고기,
바지락 (10개), 양파 (1/6개), 대파 (1/2개),
쪽파 (2큰술), 청양고추 (1~2개),
참기름 (3큰술), 고춧가루 (1큰술),
물 (360ml), 설탕 (1/3큰술), 진간장 (2큰술),
다진 마늘 (1큰술), 계란 (1개), 후춧가루
만드는 법: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양파와 대파를 볶다가 돼지고기를 넣고 함께 볶아주세요.
수분이 날아가고 기름이 생기면 고춧가루를 넣어
고추기름을 만들어줍니다. 물을 붓고 설탕,
진간장을 넣어 끓이다가 바지락을 넣어주세요.
바지락 입이 벌어지면 순두부를 넣고 으깨준 후,
계란, 쪽파, 다진 마늘을 넣어 마무리하면 끝!
<u> 양파와 대파, 돼지고기를 충분히 볶아
기름을 내는 것이 중요해요. 바지락은 미리 해감해두면
더욱 편리하게 요리할 수 있겠죠?
취향따라 골라먹는 바지락 순두부찌개 레시피!
바지락 순두부찌개는 정말 다양한 레시피가
존재하는데요. 굴소스를 활용하여 감칠맛을 더하거나,
고추기름을 직접 만들어 더욱 얼큰하게 즐길 수도
있답니다. 해산물 외에도 참치, 스팸, 돼지고기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나만의 스타일로 끓여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기억하세요! 바지락은 해감이 필수이며,
끓이는 동안 간을 보면서 입맛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의 찌개 어떠셨나요?
오늘 알아본 바지락 순두부찌개 레시피, 어떠셨나요?
두 가지 방법 모두 간단하면서도 맛있는 찌개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 이번 주말, 가족들과 함께
뜨끈한 바지락 순두부찌개 한 그릇 어떠세요?
혹시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블로그 구독과
다른 게시글 방문도 부탁드려요! 여러분의 따뜻한
관심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QnA
Q1. 바지락 해감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바지락을 소금물에 담가 어두운 천을 덮어
냉장고에 넣어 몇 시간 동안 두면 됩니다.
여러 번 헹궈서 모래나 이물질을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순두부찌개에 어떤 재료를 추가하면 더 맛있을까요?
A. 굴소스를 활용하면 감칠맛이 더욱 좋아지고,
고추기름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면 더욱 얼큰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참치, 스팸, 돼지고기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보세요.
Q3. 순두부찌개 끓일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A. 바지락은 해감이 필수이며, 끓이는 동안 간을
보면서 입맛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순두부는 쉽게 으깨지므로 너무 오래 끓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관련 포스트 더 보기
2025.04.21 - [분류 전체보기] - 네이버 지도 로드뷰: 360° 미리보기, 길찾기 초고수 되는 법
2025.04.27 - [분류 전체보기] - 한국조리사협회중앙회, 요리사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방법?
2025.04.14 - [분류 전체보기] - 이재명 선거법 2심 재판, 결과는? 정치 운명을 가를 한 방!
2025.04.16 - [분류 전체보기] - 성신여대 전과 성공 비법 대방출!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2025.04.11 - [분류 전체보기] - 아웃백 홈플러스 상품권 사용법! 아직도 몰라?